우리역사 알아보기(조선시대 개국~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 새로운 시대로 향한 이상국가 건설을 꿈꾸다

조선의 개국

*공민왕 사후 우왕-창왕-공양왕 계속된 정치적 혼란기에 신진사대부와 신흥무인세력들은 이성계장군을 중심으로 명의 철령위 이북 요구에 위화도회군(1388년)으로 맞서 실질적인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급진파(정도전)와 온건파(정몽주) 사이의 갈등속에서도  새로운 나라 조선(1392년)이 개국하였다.
여기서 잠깐 조선의 새로운 주체세력인 '신진사대부'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자
*신진사대부는 촌(지방)의 향리자제 또는 중소지주 출신으로 유교경전(성리학중시)을 공부하여 과거시험을 통해서 중앙정계 진출하였다.

조선은 개국 후 두 차례의 왕자의 난으로 여전히 혼란스러웠다. 

조선 개국 초기 왕들

-태조(이성계)
실세인 '정도전'이라는 인물은 조선을 기획하고 만드는 큰 그림을 주도한 인물이다.그리고 정도전을 발탁하고 조선의 건국에 기본을 다지는 데 여러가지 활동을 하였다.정도전은 따로 인물편으로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위화도회군으로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고  신진사대부(온건파/ 급진파)와 함께 조선을 건국한다.(1392) 정도전이  주창한 신하중심(재상중심)의 정치표방하며  조선경국전 편찬과 불씨잡변을 통해 불교를 비판하며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확립시켰다.
-태종
1차, 2차 왕자의 난으로 실권장악하고 왕권강화를 위해 사병혁파와 사간원을 독립시켰다. 6조 직계제를 통해서 국왕중심의 통치체제를 정비하였다. 사원전몰수, 양전사업실시와 호구파악을 위해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세종
유교정치실현을 위해 의정부서사제를 통한 왕권과 신권조화를 이루고자 했다. 청백리 재상(황희, 맹사성)등용하고  집현전을 통해 유교정치를 위한 정책집행에 힘썼다. 
-세조
문종사후, 계유정란(1453)일으켜 어린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다. 왕권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를 부활시키고 집현전을 없애고 종친들을 등용하기도 한다. 
-성종
경국대전완성을 이루며 통치체제를 완비한다. 문화융성과 경연활성화를 홍문관을 설치하여 집현전을 계승한다. 사림등용(김종식)을 하기도 한다.

여기서 잠깐! 사림&훈구에 대해서 비교해보자

사림파은  사학파로 주로 3사에 진출한다. 중소지주출신으로 오직 성리학만 인정하고 향촌자치 주장한다. 훈구파는 관학파의 학풍을 계승하고 주로 공신인 재상과 대지주출신으로 학문에 오픈마인드이고 중앙집권을 주장한다.

사화(4대 사화: 사림세력이 큰 화를 입은 사건)

-연산군은 훈구와 사림을 모두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특히 사림세력의 언론활동을 억제하였다. 이로 인해 두차례의 사화(무오, 갑자)로 영남사림의 대부분이 몰락하였다.
*무오사화(1498년)은 김종직의 '초의제문'발단하여 단종죽음과 관련한 사건입니다.
*갑자사화(1504)은 폐비 윤씨 죽음과 관련한 사림에 대한 복수입니다.
-중종은 반정이후 사림의 재등용을 통한 유교정치를 일으키고자 했다. 계속되는 개혁에 대한 피로감과 공신들의 반발로 다시 사림이 축출되게 된다.
*기묘사화(1519)는 조광조 축출을 통해서 개혁에 대한 공신들의 반발로 일종 모함사건이라 하겠다.
-명종은 즉위하면서 외척간의 권력다툼이 일어난다.
*을사사화(1545)은 대윤과 소윤이라는 외척간의 대립으로 사림이 다시 정계에서 밀려나게 된다.
4대 시화를 거치면서 사림세력은 크게 위축되면서 이 시기 대부분 지방으로 낙향하여 서원과 향약을 통해 향촌사회에서 세력을 꾸준히 확대해 나간다.


붕당

선조가 즉위하면서 사림세력이 다시 중용되는데 사림들이 완전히 중앙관직을 장악한다.
원래 붕당이라는 의미는  같은 스승 아래 수학한 벗(친구)을 뜻한다. 즉, 정치사상과 이념을 같이 하는 사람들끼리 모여 대사를 의논하고 같이 하는 집단이다..즉 사림안에 붕당이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도 척신정치척결과 이조전랑의 인사권문제를 계기로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하게 된다. 동인은 이황/ 조식/ 서경덕서인은 이이/ 성혼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며 훗날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어 지고,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다시 분파되어 진다.
붕당은 정치이념학문적 경향에 따라 결집되어 정파적 성격과 학파적 성격을 동시에 가지게 되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좀더 알기3> 동학농민운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시발점

좀더 알기4> 5.16군사정변과 12.12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