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탐구 9>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대명사 유일한 박사

이미지
  유일한(柳一韓, 1895년 1월 15일 ~ 1971년 3월 11일) 박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기업인이자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회사업가입니다. 그는 대한민국 제약업의 선구자로, 유한양행 을 창립하여 한국 경제와 보건 분야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1. 생애와 성장 배경 출생과 미국 유학 유일한 박사는 1895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습니다. 1904년(9세)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게 됩니다. 어린 시절부터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지며 학업과 독립운동을 병행했습니다. 미국에서의 독립운동 1919년, 미시간 대학교 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대학 시절 **흥사단(도산 안창호 설립)**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고, 독립을 위해 재정적으로 기여했습니다. 2. 유한양행 창립과 경영 철학 창립 배경 1926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유한양행(柳韓洋行)을 설립하였습니다. 당시 국내에는 변변한 제약 회사가 없어 대부분의 의약품을 일본에서 수입해야 했기에, 그는 국민 건강을 위한 제약업의 필요성 을 절감했습니다. 경영 원칙 "기업의 이윤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기업을 운영했습니다. 유한양행을 단순한 이윤 추구 기업이 아니라,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공헌을 위한 기업 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정직한 경영, 철저한 품질 관리, 인재 양성 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3. 사회공헌과 교육 활동 전 재산 사회 환원 : 유일한 박사는 기업의 사유화보다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1969년, 유한양행의 주식을 사회에 환원 하여 기업이 특정 개인이나 가족의 것이 아닌 공익을 위한 기관 이 되도록 했습니다. 유한재단 설립(1953년) : 교육 및 장학 사업을 위해 유한재단을 설립하고 많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습니다. 유한공고 설립(1958년) : 실업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을 위해 유한공업고등학교 ...

좀 더 알기 12> 우리나라 개헌(헌법개정)의 역사

이미지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개헌(헌법 개정) 역사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변화와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한민국 헌법은 1948년 제정된 이후 총 9차례 개정되었습니다. 1. 제1차 개헌 (1952년) - 발췌 개헌 배경 : 한국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이 재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추진 주요 내용 : 대통령 선출 방식을 국회 간선제에서 국민 직선제로 변경 특징 : 군과 경찰을 동원한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통과 2. 제2차 개헌 (1954년) - 사사오입 개헌 배경 : 이승만 대통령이 3선 연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추진 주요 내용 : 초대 대통령에 한해 3선 제한 철폐 특징 : 의결 정족수 미달 논란(사사오입 논리 적용) 속에서 강행 3. 제3차 개헌 (1960년) - 내각책임제 개헌 배경 :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 붕괴 후 민주화 요구 증가 주요 내용 : 대통령 중심제 → 내각책임제로 변경, 양원제 국회 도입 특징 : 민주적 개헌이었으나 곧 5·16 군사정변 발생 4. 제4차 개헌 (1960년) - 소급입법 개헌 배경 : 4·19 혁명 이후 부정선거 책임자 처벌을 위한 개헌 주요 내용 :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 가능하게 하는 조항 추가 5. 제5차 개헌 (1962년) - 5·16 군사정변 이후 개헌 배경 : 5·16 군사정변 후 박정희 군사정부 주도 개헌 주요 내용 : 다시 대통령 중심제로 복귀, 단원제 국회 구성 6. 제6차 개헌 (1969년) - 3선 개헌 배경 : 박정희 대통령이 3선 출마를 위해 추진 주요 내용 : 대통령 3선 연임 허용 특징 : 야당과 시민의 강한 반대 속에서도 강행 7. 제7차 개헌 (1972년) - 유신헌법 배경 : 박정희 정권 장기 집권을 위해 추진 주요 내용 : 대통령 간선제(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대통령 긴급조치권 강화, 국회의원 1/3 대통령 임명 특징 : 독재 체제 확립, 국민 기본권 제한 심화 8. 제8차 개헌 (1980년) - 5공화국...

인물탐구 8> 폭군 연산군!

이미지
  연산군(燕山君, 1476~1506)은 조선 제10대 왕으로, 본명은 이융(李㦕)입니다. 그는 조선 성종의 장자로 태어나 1494년에 즉위했으나, 폭정과 실정으로 인해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당했습니다. 1. 즉위와 초기 통치 연산군은 1494년, 부왕 성종이 승하한 후 왕위에 올랐습니다. 초기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통치를 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전제적인 태도를 보이며 폭정을 시작했습니다. 그가 폭군이 된 배경에는 어린 시절 어머니인 폐비 윤씨 사건 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2. 폐비 윤씨 사건과 복수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폐비 윤씨)는 성종의 총애를 받았지만, 성종의 다른 후궁들을 질투하며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결국 1479년(연산군 4세 때), 신하들의 탄핵을 받아 왕비의 자리에서 폐위되었고, 1482년 사약을 받고 사망했습니다. 연산군은 즉위한 후, 어머니의 죽음을 뒤늦게 알게 되면서 극도로 분노했습니다. 1504년(연산군 10년), 그는 어머니의 폐위와 관련된 신하들을 색출하여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는데, 이를 갑자사화(甲子士禍)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한명회, 유자광 등 과거 사건에 연루된 대신들이 제거되었고, 그의 계모인 정현왕후 윤씨 와 관련된 사람들까지 탄압을 받았습니다. 궁궐에서 연산군을 교육했던 김굉필, 정여창 같은 성리학자들도 죽임을 당했습니다. 3. 폭정과 향락 생활 연산군은 점점 정치에 관심을 잃고 향락에 빠졌습니다. 도성(한양)에 기생들을 모아 연회를 즐겼으며 , 궁궐에 '연회 전문 공간'인 취선당(醉仙堂)을 설치했습니다. 왕이 직접 거리의 여인들을 잡아오게 하고, 기방의 기생들까지 궁으로 끌어들였습니다. 신하들이 간언하면 심하게 처벌하거나 죽였으며, 궁중에서 자신을 비판한 자를 색출하여 숙청하는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년)를 일으켰습니다. 이런 폭정과 사치로 인해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 피폐해졌습니다. 4. 중종반정과 폐위 연산군의 폭정이 계속되자, 신하들은 더 이상 그를 ...

궁금해요 12> 우리나라 의료역사에 대해

이미지
  우리나라(대한민국)의 의료 역사는 오랜 세월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전통 한의학과 서양 의학이 공존하는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왔습니다. 다음은 주요 시대별 의료 역사의 개요입니다. 1. 고대 및 삼국시대 (기원전~668년) ◼ 전통적인 한의학(한방의학)의 시작 고대 부족 사회에서는 샤머니즘과 결합된 민간요법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각국에서 왕실 중심으로 의료 체계를 정비하였습니다. 고구려 : 태학에서 의학 교육을 했으며, 전염병 치료를 위한 의료 관리를 하였습니다. 백제 : 일본에 의사를 파견하여 의학을 전파하였으며, 왕립 의료 기관인 내의 가 존재하였습니다. 신라 : 왕실 의료기관인 제생원 이 있었으며, 특히 화랑들이 심신 수련을 하면서 의약 지식을 익혔습니다. 2. 고려시대 (918~1392년) ◼ 국가 주도의 의료 체계 확립 의학교(醫學敎)를 설립하여 의사 양성을 체계화하였습니다. 혜민국(惠民局)을 운영하여 서민들에게 약을 공급하였습니다. 구료기관(구제도감, 대비원 등)을 통해 빈민과 환자를 위한 의료 시설을 운영하였습니다. 본격적으로 한의학이 정립 되었으며, 송나라에서 가져온 의서가 의료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3. 조선시대 (1392~1897년) ◼ 한의학의 전성기 & 국가 의료 시스템 정착 국가에서 한의학을 적극 지원하고 연구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의료 기관: 전의감(典醫監) : 왕실 의료 담당 혜민서(惠民署) : 일반 백성 대상 의료 지원 활인서(活人署) : 전염병 예방 및 치료 기관 세종대왕 시기 한의학 발전: 한글 창제로 의학 지식을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편찬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약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허준 저술)은 조선 한의학의 집대성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4.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 (1897~1945년) ◼ 서양 의학 도입 & 의료 현대화 시작 대한제국...

좀 더 알기 11> 우리나라 군대의 역사

이미지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군대 역사는 한반도의 오랜 전쟁과 군사적 전통을 반영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어. 크게 고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국군 창설 이후 로 나눠서 살펴볼게. 1. 고대 국가의 군대 (고조선~삼국시대) 고대부터 한반도는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이 많았고, 군사력 강화가 중요했어. 고조선(기원전 2333~기원전 108년) 최초의 국가로서 군대를 운영했으며, 8조법(범금 8조)에서 살인을 저지르면 사형에 처한다고 규정할 정도로 군율이 엄격했어. 기마전술을 사용했고, 중국 연나라와 전쟁을 치르기도 했어.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1세기~7세기) 각 나라별로 독특한 군사 체계를 운영했어. 고구려 : 강력한 기마병과 보병 중심의 군대. 광개토대왕, 연개소문 등의 활약으로 중국 북위·수·당과 전쟁. 백제 : 해군력이 강했고, 왜(일본)와 연합하여 고구려 및 신라와 전쟁. 신라 : 화랑도를 기반으로 한 정예병 양성. 나당연합군을 결성해 백제(660년)와 고구려(668년) 멸망. 가야 : 철제 무기 제작이 뛰어나 병기를 잘 만들었음. 통일신라(668~935)와 발해(698~926) 통일신라 :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 체제를 갖춤. 발해 : 고구려 계승 국가로 당과 전쟁하며 강한 군사력을 유지. 2. 고려 시대(918~1392년) 초기 : 왕건이 호족과 연합하여 후삼국을 통일(936년). 국경 방어를 위해 광군(거란 침입 대비) 운영. 거란과의 전쟁(993~1019년) : 강감찬 장군이 귀주대첩(1019)에서 대승. 무신정권(1170~1270)과 몽골 침략(1231~1270):  무신들이 권력을 잡고 군사 중심 통치. 최씨 정권이 대몽항쟁을 벌였고, 삼별초가 저항했지만 결국 고려가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됨. 후기 왜구 격퇴(14세기) : 최영·이성계 등이 왜구를 물리침.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1388) 이후 조선을 건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