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알기 12> 우리나라 개헌(헌법개정)의 역사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개헌(헌법 개정) 역사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변화와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한민국 헌법은 1948년 제정된 이후 총 9차례 개정되었습니다.
1. 제1차 개헌 (1952년) - 발췌 개헌
- 배경: 한국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이 재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추진
- 주요 내용: 대통령 선출 방식을 국회 간선제에서 국민 직선제로 변경
- 특징: 군과 경찰을 동원한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통과
2. 제2차 개헌 (1954년) - 사사오입 개헌
- 배경: 이승만 대통령이 3선 연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추진
- 주요 내용: 초대 대통령에 한해 3선 제한 철폐
- 특징: 의결 정족수 미달 논란(사사오입 논리 적용) 속에서 강행
3. 제3차 개헌 (1960년) - 내각책임제 개헌
- 배경: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 붕괴 후 민주화 요구 증가
- 주요 내용: 대통령 중심제 → 내각책임제로 변경, 양원제 국회 도입
- 특징: 민주적 개헌이었으나 곧 5·16 군사정변 발생
4. 제4차 개헌 (1960년) - 소급입법 개헌
- 배경: 4·19 혁명 이후 부정선거 책임자 처벌을 위한 개헌
- 주요 내용: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 가능하게 하는 조항 추가
5. 제5차 개헌 (1962년) - 5·16 군사정변 이후 개헌
- 배경: 5·16 군사정변 후 박정희 군사정부 주도 개헌
- 주요 내용: 다시 대통령 중심제로 복귀, 단원제 국회 구성
6. 제6차 개헌 (1969년) - 3선 개헌
- 배경: 박정희 대통령이 3선 출마를 위해 추진
- 주요 내용: 대통령 3선 연임 허용
- 특징: 야당과 시민의 강한 반대 속에서도 강행
7. 제7차 개헌 (1972년) - 유신헌법
- 배경: 박정희 정권 장기 집권을 위해 추진
- 주요 내용: 대통령 간선제(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대통령 긴급조치권 강화, 국회의원 1/3 대통령 임명
- 특징: 독재 체제 확립, 국민 기본권 제한 심화
8. 제8차 개헌 (1980년) - 5공화국 개헌
- 배경: 10·26 사건(박정희 피살)과 12·12 군사 반란 이후 전두환 정권 등장
- 주요 내용: 대통령 7년 단임제, 대통령 간선제(선거인단)
- 특징: 유신체제보다는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독재적 요소
9. 제9차 개헌 (1987년) - 6월 민주항쟁 이후 개헌
- 배경: 6월 민주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 요구 증가
- 주요 내용: 대통령 직선제 부활(5년 단임제), 기본권 강화
- 특징: 현재 대한민국 헌법의 골격 형성
현재 개헌 논의
1987년 개헌 이후 36년간 개헌이 이루어지지 않음. 최근에는 4년 중임제, 지방 분권 강화, 기본권 확대 등의 개헌 논의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치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진되지 못하고 있음.
대한민국 개헌의 역사는 권력자의 장기 집권 시도와 국민의 민주화 요구 간의 충돌이 반복된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