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알기 14> 제주 4.3사건에 대해
제주4·3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과 무력 진압 사건을 말합니다.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히며,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습니다. 사건 배경 광복 이후 혼란 : 1945년 광복 후, 한반도는 미군정 하에 있었으며, 제주도 역시 미군정의 통치를 받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 제주도는 식량 부족과 실업 문제로 혼란스러웠고, 좌익 세력과 우익 세력 간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단독 정부 수립 반대 :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추진하는 미군정과 이승만 세력에 반대하는 좌익 세력과 주민들 사이에서 갈등이 격화되었습니다. 남로당과 무장 봉기 : 남로당 제주도당은 1948년 4월 3일을 기점으로 무장봉기를 일으켰습니다. 경찰서와 우익 단체를 공격하며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사건 전개 진압 작전 : 정부는 이 사건을 공산 폭동으로 규정하고 강경 진압에 나섰습니다. 군과 경찰은 무장대 토벌을 명목으로 대규모 작전을 벌였습니다. 무차별 학살 : 진압 과정에서 군경은 무고한 민간인까지 공산 세력으로 간주해 대대적인 학살을 저질렀습니다. 토벌대와 무장대의 충돌 : 무장대와 토벌대 간 전투가 이어졌고, 도민들은 이 과정에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겪었습니다. 피해 규모 약 3만 명에서 6만 명에 이르는 주민이 학살되었다고 추정됩니다. 전체 제주도 인구의 약 10%에 해당하는 숫자였습니다. 수많은 마을이 불타고 파괴되었으며, 생존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침묵을 강요당했습니다. 진상 규명과 사과 진상 규명 : 2000년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진상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대통령 사과 :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공식 사과하였고, 이후 문재인 대통령도 사과와 더불어 추가적인 명예 회복 조치를 약속했습니다. 4·3평화공원 조성 :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4·3평화공원이 조성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