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15>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즈음하여(중국 상해여행은 꼬옥 여기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배경과 과정
1. 역사적 배경
-
일제 강점기: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여 식민지로 삼으면서, 우리 민족은 주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
3·1 운동(1919):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을 중심으로 한 전민족적 독립운동이 일어났고, 전국적으로 퍼져나갔습니다.
-
국제 정세: 1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 자결주의’(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14개 조 원칙)가 확산되면서, 조선 민족도 독립에 대한 열망을 세계에 알리고자 했습니다.
2. 임시정부 수립
-
수립일: 1919년 4월 11일
-
장소: 중국 상하이(상해) 프랑스 조계지
-
정부 형태: 공화제를 채택한 민주주의 정부
-
초대 대통령: 이승만 (후에 국무령 중심 체제로 변경)
-
주요 인물: 김구, 안창호, 이동휘, 신규식, 박은식 등
3. 조직과 운영
-
입법: 임시의정원 (지금의 국회와 같은 역할)
-
행정: 국무총리와 각 부서 (내무, 외무, 군무 등)
-
사법: 임시 사법부 구성
-
독립운동 조직: 임시정부는 독립운동 단체들을 통합하고 통일적인 지도체계를 구축하려 노력했습니다.
주요 활동
1. 외교 활동
-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여 조선의 독립을 국제사회에 호소
-
미국, 중국 등지에 외교 사무소를 설치
2. 무장 투쟁
-
한인애국단 창설(1931, 김구 주도): 이봉창·윤봉길 의거로 일본 고위급 인사들을 암살 시도
-
한국광복군 창설(1940): 중국 국민당 정부와 협력해 무장 독립 전개
3. 선전 활동
-
기관지 발간(『독립신문』 등)
-
국민 교육, 민족의식 고취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의
-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명확히 한 정부.
-
독립운동의 구심점: 국내외 독립운동을 통합하고 조직화함.
-
현 대한민국의 법통 계승: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서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
해방 이후
-
1945년 광복 이후 임시정부는 국내 복귀를 시도했으나, 미군정은 공식적인 정부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
그러나 임시정부의 지도자들은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예: 김구, 김규식, 백범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