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탐구 10> 독립투사 이봉창과 윤봉길의사의 거룩한 무장투쟁

 


이봉창과 윤봉길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친 대표적인 의열투쟁 독립운동가입니다. 두 사람은 모두 한인애국단의 단원이었으며, 일본의 심장을 강타하는 의거를 감행했습니다. 각각의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이봉창(李奉昌, 1900~1932)

생애와 독립운동 배경

이봉창은 1900년 8월 10일 한성부(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자란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노동을 하면서 독립운동에 뜻을 품게 됩니다. 1931년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던 김구를 만나 한인애국단에 가입합니다.

이봉창 의거(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일본의 심장부에서 직접적으로 일본 천황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1932년 1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일본 천황 히로히토(裕仁)가 도쿄 요요기 연병장에서 열병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폭탄을 던졌습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폭탄이 천황이 탄 마차가 아니라 뒤따르던 다른 마차에 떨어져 암살은 실패했습니다.

체포와 순국

이봉창은 현장에서 체포되었고, 일본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같은 해 10월 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졌습니다.

의미와 영향

이봉창 의거는 일본 본토에서 천황을 직접 겨냥한 최초의 독립운동으로, 전 세계에 한국 독립운동의 존재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임시정부가 국제적으로 주목받았고, 이후 윤봉길 의거 등의 의열투쟁이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윤봉길(尹奉吉, 1908~1932)

생애와 독립운동 배경

윤봉길은 1908년 6월 21일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민족의식이 강했으며, 1926년 '농민독본'을 만들어 농촌 계몽운동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상하이에서 김구를 만나 한인애국단에 가입했습니다.

윤봉길 의거(1932년 4월 29일)

1932년 4월 29일, 일본군은 상하이 훙커우(虹口) 공원에서 일본 천황의 생일(천장절)과 상하이 사변 승리 기념식을 열었습니다. 윤봉길은 이 행사장에서 물통과 도시락으로 위장한 폭탄을 던졌습니다.

의거 결과

  • 시라카와 대장(육군 대장,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사망
  • 가와바타 대장(해군 대장) 중상
  • 노무라 중장(중국 공사) 중상
  • 무라이 중장(제3함대 사령관) 부상
이 사건으로 일본군 주요 인사들이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었습니다.

체포와 순국

윤봉길은 현장에서 체포되었고, 일본 오사카로 이송된 후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같은 해 12월 19일 일본 가나자와 육군 형무소에서 총살형을 당했습니다.

의미와 영향

윤봉길 의거는 국제사회에 한국 독립운동의 존재를 강력하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장제스(장개석) 국민당 총통은 "중국 100만 대군이 하지 못한 일을 한국인 윤봉길이 해냈다"고 극찬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독립운동이 중국 정부의 후원을 받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론 및 역사적 의의

이봉창과 윤봉길은 한인애국단 소속으로서 일제의 핵심부를 직접 겨냥한 의열 투쟁을 감행하였습니다. 비록 두 사람 모두 순국했지만, 그들의 희생은 한국 독립운동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임시정부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특히 윤봉길 의거는 중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두 사람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대한민국에는 이봉창 의사 동상(서울 효창공원), 윤봉길 의사 기념관(서울 서초구), 충남 예산의 윤봉길 의사 사적지 등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의 독립이 가능했음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역사 알아보기(선사시대~)

우리역사 알아보기(고대국가 성립과 발전 ~)

궁금해요 14> 식목일의 역사

좀더 알기4> 5.16군사정변과 12.12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