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알기 15> 대한민국 민주주의 만세! 4.19혁명을 기억하며

 


4·19 혁명(四一九革命, April 19 Revolution)은 1960년 4월 19일을 전후로 하여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대규모 민주 시민 항쟁입니다. 이 혁명은 부정 선거를 규탄하고, 자유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힘으로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사건으로,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배경

1. 이승만 정권의 독재화

  • 이승만은 1948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장기집권을 위해 여러 가지 헌법 개정을 단행했습니다.
    • 1952년: 발췌개헌(직선제 도입)
    • 1954년: 사사오입 개헌 (초대 대통령에 한해 연임 제한 철폐)
  • 점차 권력을 강화하면서 독재적인 성향이 짙어졌습니다.

2. 부정 선거

  • 1960년 3월 15일,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이 속한 자유당은 노골적인 부정선거를 저질렀습니다.
    • 이승만은 사실상 단독 출마했고, 부통령 선거에서는 이기붕(자유당)의 당선을 위해 조직적 개입과 투표 조작이 이루어졌습니다.
    • 이로 인해 전국에서 "선거는 조작됐다"는 반발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전개

1. 마산 의거 (3.15 의거)

  • 마산 시민과 학생들이 선거 부정을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고, 경찰의 무력 진압으로 유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 특히 4월 11일,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며 전국적인 분노를 일으켰습니다.

2. 4.19 혁명

  • 4월 19일, 전국의 고등학생, 대학생, 시민이 서울과 여러 지역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습니다.
  • 경찰은 시위대에 실탄을 발사, 수백 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습니다.
  • 이에 분노한 국민 여론과 사회 각계의 압력으로, 결국 이승만은 4월 26일 대통령직에서 하야하고 하와이로 망명하게 됩니다.

결과 및 의의

1. 이승만 정권 붕괴

  • 이승만의 하야와 함께 자유당 정권도 붕괴하였습니다.

2. 장면 내각 출범

  • 이후 내각 책임제 개헌이 이루어졌고, 민주당의 장면 총리 체제가 출범했습니다.

3. 군사정변의 단초

  • 그러나 혼란한 정치 상황을 틈타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며 군부가 권력을 장악하게 됩니다.

4.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

  • 4.19 혁명은 시민의 힘으로 독재를 무너뜨린 사건으로, 이후 대한민국 민주주의 운동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습니다.
  • 4월 19일은 ‘4·19 혁명 기념일’로 지정되어 매년 기념행사가 열립니다.

유명한 구호

“우리는 독재를 반대한다!”
“부정선거 다시는 안 된다!”
“이승만 물러가라!”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역사 알아보기(조선시대의 전란- 왜란/ 호란)

우리역사 알아보기(대한제국기의 국권침탈과정과 일제강점기)

좀더 알기3> 동학농민운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시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