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 알아보기(고대국가 성립과 발전 ~)

 
고대국가의 성격을 규정하는 3가지 포인트> 왕권강화/ 율령반포/ 통치체제 정비/ 불교수용

삼국의 성립

*고구려는 부여계통 유이민집단과 압록강 유역의 토착세력이 결합해서 건국했으며 수도천도(졸본성> 국내성)를 합니다. 태조왕은 1세기 후반때에 정복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계루부 고씨가 왕위독점을 세습하였으며 5부 체제로 발전하였다. 고국천왕은 2세기 후반에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하였고 부자상속으로 왕위계승하였습니다.
*백제는 한강유역의 토착세력과 고구려유이민 세력의 결합으로 성립되었습니다.
고이왕은 3세기중반에 한강유역을 장악하며 관등제정비와 관복도입 및 율령반포를 통해서 중앙집권국가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신라는 진한의 사로국에서 출발하여 경주토착민과 유이민집단이 결합해서 건국하였습니다.
내물왕은 4세기때 낙동강 동쪽의 진한지역을 거의 차지하고 김씨에 의한 왕위계승권이 확립되었고  '마립간'칭호를 사용했으며 왜가 침입했을 당시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이 군대를 파병했습니다.
*전기가야 연맹은 2세기 이후 변한지역 철기문화를 토대로 여러 정치 집단이 등장하였다. 3세기경에는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왕국 발전하였다. 일찍부터 벼농사의 농경문화 발달하였고 철생산과 해상교통을 이용하여 낙랑과 왜의 중계무역이 발달하였다.

삼국의 발전

*고구려는 3세기중반 위나라의 침입을 받아 위축되지만 4세기에 중국대륙의 혼란을 틈타 대외팽창을 꾀하여 미천왕 낙랑군을 축출하고 소수림왕율령반포, 불교수용 및 태학설립을 통해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였다.
*백제는 4세기 중반 근초고왕에 크게 발전하여 요서, 산둥, 규슈지역 진출하는 등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였다. 침류왕때는 불교공인을 통해서 중앙집권체제의 사상을 뒷받침했다.
*신라는 5세기 초에 지증왕국호를 신라로 왕의 칭호는 마립간에서 '왕'으로 고치고, 수도와 지방의 행정구역 정비하고,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법흥왕율령반포, 공복제정, 골품제도 정비하여 통치질서를 확립하고 불교를 공인했다.

삼국 간의 항쟁

*고구려광개토대왕때 만주지방의 대규모 정복사업을 단행하였고, 신라에 침입한 왜구격퇴하고 '영락'이라는 연호사용를 사용하였다. 장수왕은 평양으로 도읍을 천도하고 한강유역 차지하였다.
*백제문주왕때 고구려의 남하정책으로 웅진으로 도읍천도하여 많이 위축되어 무역활동도 침체되어 경제적으로 어려웠고, 왕권이 약화되어 귀족세력이 국정을 주도하였다. 동성왕 때부터 나. 제동맹 강화하고 무령왕은 지방의 22담로설치를 통해 지방통제를 강화하였다. 성왕은 사비로 도읍이동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면서 중흥을 꾀하였다. 중앙은 22부 및  수도 5부와 지방 5방으로 정비하고, 일본에 불교전파도 하였다.
*신라 진흥왕때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개편을 통해서, 한강유역을 차지하며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한강유역을 장악함으로써 경제기반 강화하고 전략거점 확보하여 황해를 통한 중국과 직접교역을 할 수 있는 유리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삼국의 통치체제(중앙/지방)

*관등은 고구려는 대대로(막리지)아래 10여 관등과 백제는 상좌평아래 16관등 및 신라는 17관등을 두고 있었다.
*중앙관제는 고구려가 대대로가 국사를 총괄하며 백제는 좌평이 국정총괄)했습니다. 신라는 집사부, 병부설치하고 상대등은 귀족회의 주관하며 왕권을 견제하였다.
*귀족회의로는 고구려는 제가회의,  백제는 정사암회의, 신라는 화백회의를 두었다.
*지방조직은 고구려는 5부(욕살),  백제는 5방(방령)을 두었으며 신라는 5주(군주)가 있었다.
*특수구역에는 고구려에 3경을  백제는 22 담로를 신라는 2소경을 두었다.
촌은 토착세력인 촌주가 행정실무 담당하고 지방관을 보좌하며 지방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미약했습니다.
*군사조직은  행정조직과 일치하여 지방관은 군사와 행정을 동시에 담당하였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역사 알아보기(삼국의 대외항쟁과 남북국~)

우리역사 알아보기(대한제국기의 국권침탈과정과 일제강점기)

좀더 알기3> 동학농민운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시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