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알기 13> 3.15의거에 대해


3.15 의거(3.15 부정선거 및 마산 의거)는 1960년 3월 15일에 발생한 대한민국 제4대 정·부통령 선거와 관련된 부정선거 및 이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 운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후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중요한 사건입니다.

1. 3.15 부정선거의 배경

1950년대 대한민국은 이승만 대통령이 이끄는 자유당 정권이 집권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자, 이승만은 정권 유지를 위해 헌법 개정(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대통령 연임 제한을 없애고, 1956년 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야당 후보 신익희가 급사하자 부정선거를 통해 부통령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1960년 3월 15일, 이승만은 4선 연임을 위해 제4대 대통령 선거를 강행했으며, 부통령 후보로는 이기붕을 내세웠습니다. 그러나 정권 유지에 위기를 느낀 자유당은 대규모 부정선거를 자행했습니다.

2. 부정선거의 내용

자유당 정권이 저지른 부정선거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 사전투표 조작: 미리 인쇄된 투표용지를 이용해 자유당 후보에게 몰표를 줌.
  • 공무원·깡패 동원: 경찰과 조직폭력배를 동원해 유권자들을 협박하거나 야당 참관인을 구타.
  • 투표소 감시 및 폭력: 선거관리위원들이 자유당 후보에게 투표하도록 강요.
  • 유령 유권자 동원: 사망자, 유령 주민 등의 이름을 이용해 가짜 투표 진행.
  • 야당 지지자 탄압: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시민들을 체포하고 구속.
이러한 부정선거의 결과로 이승만은 무투표 당선되었으며, 부통령 후보인 이기붕도 압승을 거뒀습니다.

3. 마산에서의 시민 저항 (3.15 의거)

선거 당일, 특히 마산에서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경찰은 시위대를 강제 해산시키고, 무차별적인 발포까지 감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민들이 부상을 입고, 사망자까지 발생했습니다.
대표적인 희생자로는 김주열 열사가 있습니다. 그는 시위 도중 실종되었으며, 이후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떠오른 시신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충격적인 사건은 전국적인 분노를 불러일으켜 4.19 혁명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4. 3.15 의거의 결과와 영향

  • 4.19 혁명의 도화선: 마산 시민들의 저항은 전국적인 시위로 확산되었으며, 결국 4월 19일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4.19 혁명)가 일어나게 됨.
  • 이승만 정권 붕괴: 4.19 혁명 이후 이승만 대통령은 4월 26일 하야했고, 자유당 정권은 붕괴됨.
  • 민주주의 발전 계기: 3.15 의거는 대한민국 역사에서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들의 저항 정신을 보여준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됨.

5. 3.15 의거의 기념과 의의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3.15 의거를 민주주의 운동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3.15 민주묘지가 조성되었으며, 매년 3월 15일 기념식이 열립니다. 또한, 3.15 의거는 2010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결론

3.15 의거는 단순한 선거 부정 사건이 아니라,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 사건입니다. 마산 시민들의 희생과 저항은 이후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결국 대한민국 최초의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금도 3.15 의거는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싸운 역사적 순간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한민국 민주주의 정신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역사 알아보기(선사시대~)

우리역사 알아보기(고대국가 성립과 발전 ~)

궁금해요 14> 식목일의 역사

좀더 알기4> 5.16군사정변과 12.12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