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13> 우리나라 커피(coffee)의 역사
우리나라의 커피 역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커피도 함께 유입되었고, 이후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1. 개항기(19세기 말~20세기 초): 커피의 첫 도입 우리나라에 커피가 처음 전해진 시기는 1890년대 로 추정됩니다. 황실에서 커피를 처음 접하다 고종 황제가 커피를 처음 마셨다고 전해집니다. 1896년, 아관파천(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 당시 러시아 공사관에서 커피를 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덕수궁에서 커피를 즐겼고, 이를 위해 궁 안에 '정관헌(靜觀軒)'이라는 별채를 지었습니다. 이 시기의 커피는 주로 외국인이나 고위층이 즐기는 사치품이었습니다. 2. 일제강점기(1910~1945): 다방 문화의 등장 일제강점기에는 본격적으로 커피를 판매하는 공간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920년대: 다방(茶房)의 등장 1923년 서울 명동에 **우리나라 최초의 다방 '박달다방'이 문을 엽니다. 이후 '낙랑다방', '제비다방' 같은 유명한 다방들이 생겨났습니다. 다방은 커피를 마시며 지식인들이 토론하거나 예술가들이 교류하는 문화공간이 되었습니다. 커피의 대중화 시작 이 시기에는 여전히 커피가 고급 음료였지만, 점차 상류층과 예술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커피 원두 수입이 제한적이었고, 일반 대중에게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습니다. 3. 해방 이후~1970년대: 커피믹스의 등장 1950년대: 인스턴트 커피 도입 6·25 전쟁 이후, 미군을 통해 인스턴트 커피가 대중에게 보급되었습니다. 특히 미군이 남긴 커피(맥스웰 하우스, 네슬레 등)가 시장에 유통되면서 점차 커피 문화가 확산되었습니다. 1960~70년대: 다방 전성기 경제 발전과 함께 다방 문화가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1960년대에는 한국 최초의 인스턴트 커피 제품이 등장하며 커피가 대중화되었습니다. ...